본문 바로가기
주식창고

미국 첫 금리인하 후 미국주식 과거 데이터를 알아보자

by 학사쟁이 2024. 9. 19.
반응형

어제 미국이 금리를 0.5% 인하하면서 빅컷을 시행함. 현재 본장이 시작되지 않은 상황에서 레버리지 롱이 상승이 굉장히 많이 되고 있음. SOXL은 10% 상승까지 함 데이장에서 거래량은 매우 적음. 10% 달성 때 75억 원.

 

0.5% 빅컷이 진행되는 것은 불과 일주일 전만 해도 0.25%가 예상되었고, 갑작스럽게 0.5% 빅컷을 해야 될 정도로 무언가 경제적으로 문제가 될만한 무언가가 있을 수 있었다고 보임. 여러 가지 가설이 있겠지만 과거 데이터를 한번 확인해 봐야겠음.

 

과거 40년 동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을 멈추고 인하로 전환한 정확한 날짜 이후에 데이터를 살펴봅시다.

 

2001년 1월 3일 - 닷컴버블 붕괴 이후 금리인상을 이어가다 처음으로 금리를 인하한 시기

 

 

 

약 3주 정도 상승세가 지속되다가 그 이후 1년간 하락장이 나타났습니다. S&P 500 지수는 2001년 초부터 2002년 말까지는 주식 시장이 계속 하락했습니다. 주가는 약 40% 이상 하락하며, 2002년 10월에 바닥을 쳤습니다.

 

2007년 9월 18일 - 금융위기의 시작으로 금리인하가 시작됨

 

약 2주 정도 지속 상승이 지속되다 2007/10/31일 최고점을 찍고 1.5년간 하락세를 보임. S&P 500 지수 2007년 말부터 2008년까지 약 50% 이상 하락했습니다. 주가는 2009년 3월에 바닥을 치고 이후 회복세로 전환되었습니다.

 

2020년 3월 3일 / 2020년 3월 15 - 코로나19 팬데믹

 

 

연준이 두 차례 금리를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은 초기에는 급락했음. 이후 달러를 마구 찍어서 경기를 부양하여 주식시장이 빠르게 반등했다. 이때 하락은 굉장히 짧은 기간 진행됨. 약 3주간 하락하다가 금리 인하와 함께 대규모 재정 및 통화정책이 시행되면서 유동성이 증가했고, 기술주 중심의 회복.

 

 

 

위데이터로 유추해본다면

1. 미국이 과거데이터를 통해서 금리를 선제적으로 빠르게 올려서 일어날 수 있는 불황을 최소화하려는 것.

2. 과거에도 불황이 시작될 때 금융위기다, 닷컴버블등과 같은 불황의 원인을 처음부터 알지 못함 이미 상당히 진행된 다음에 만들어냄. 즉, 이미 불황은 시작됐고 수개월뒤 이유가 나온다.

 

2024.09.19 - [주식창고] - 미국 대통령 선거 시기에 미국 주가 변화

 

미국 대통령 선거 시기에 미국 주가 변화

미국 대통령선거기간에는 주가를 부양하여 같은 당 내 사람이 당선되도록 도울 것이다라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과거 데이터를 보고 앞으로 남은 미국 대선 한 달 동안 변화를 유추해 봅시

gusaud2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