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3

프로그래밍 언어 타입 개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타입 개념을 지원한다. 타입은 데이터 집합과 연산 집합의 결합이고, 데이터 집합은 처리 대상이 되는데 연산집합은 해당 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연산의 집합이다. 연산이나 서브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적용 전후의 타입이 연산이나 서브 프로그램의 정의와 일치하는지를 따져서 타입의 안정성을 다루고 타입안전은 타입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것을 뜻한다. 프로그램 안정성 측면에서 구별한다면, 강타입 : 모든 오류를 검출해 내는 언어로 Haskell. ML등 약타입 : 타입 오류를 검출하긴 하지만 일부 오류를 허용하는 언어고, C가 대표적이다. 공용체나 타입 캐스팅을 통해 타입검사를 피할 수 있다. 무타입 : 타입 선언문이 없고 어떤 대상의 타입이 계속 바.. 2023. 10. 28.
생활속의 경제 장기경제성장 경제 성장은 어떤 한 경제의 1인당 국내총생산 증가로 정의할 수 있다. 경제 성장률은 기준시점 t와 비교대상 시점 t+1간의 1인당 총생산 변화로 측정할 수 있다. 경제성장률 = 1인당 국내총생산 t+1 - 1인당 국내총생산 t / 1인당 국내총생산 t 이러한 경제성장을 이해하기 위해 경제 전체의 총생산 함수를 알아본다면 Y(총생산) = A(기술 수준) X F(K, Lh)이다. K는 물적자본 Lh는 효율적인 노동으로 기술 수준과 물적자본, 효율적인 노동의 곱으로 나타내어진다. 기업단위의 생산함수와 마찬가지로 경제 전체의 총생산함수도 다른 생산요소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어느 한 요소의 투입을 늘리면 총생산이 증가하지만 다른 생산요소의 투입이 변하지 않는다면 결국 하나의 생산요소만 계속 늘리더라도 늘어나 ㄴ.. 2023. 10. 28.
선형대수 벡터공간 체(field) 유리수 집합, 실수집합, 복소수집합 연산에 생각한다면 사칙연산 + , - , *, / 를 생각할 수 있다 좀 더 나아가 뺄셈과 나눗셈은 결국 덧셈과 곱셈의 역연산이다. a-b = a+(-b), a/b = a·b-1 집합 F의 원소를 k, l, m으로 표시할 때에 집합 F가 두 연산 덧셈과 곱셈에 대해 닫혀있고(연산해도 실수가 된다는 뜻) 다음의 성질을 만족할 때 집합 F를 체라고 한다. 체의 원소는 스칼라라고 한다. (1) k + l = l + k (2) k + (l + m) = (k + l) + m (3) ∀k ∈ F, ∃0 ∈ F k + 0 = k (4) ∀k ∈ F, ∃-k ∈ F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k + (-k) = 0 (5) k· l = l· k (6) k· (l· m) =.. 2023. 10. 26.
자료구조, 스레드 트리 스레드 트리 스레드 트리를 이야기하기 앞서 배웠던 원형 연결리스트를 떠올려보면 마지막 노드의 링크노드를 첫 노드를 가리키게 해서 순환하게 했다. 결국 스레드 트리도 잎노드에서 빈 공간으로 있는 NULL링크를 활용하는 것이다. 앞서 이진트리를 순회할 때 방문하지 않고 지나 온 노드들은 스택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는 컴퓨터가 하는 일을 더 많게 하는데 스트레드 트리는 정해진 순회방법에 따른 방문순서를 유지하는 스레드라는 포인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there : (실등을) 꿰다. 이진트리의 노드 순회는 전위순회, 중위 순회, 후위순회가 있다고 했는데 스레드라는 포인터를 잎노드의 NULL링크에 사용하여 트리순회를 편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레드 : 순회방법에 따라 방문순서를 유지하는 포인터 스레드 트리 .. 2023.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