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7 일차연립방정식 일차방정식 ax=b 이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방정식 a : 계수 x : 미지수 b: 상수 위의 방정식에 s값을 넣었는데 맞아떨어지면 '해' 또는 '근'이라고 한다. 1) a ≠0 인경우 a가 존재 → a-1ax = a-1b → x = a-1b → 유일한 해 그리고 a가 0이라면 b가 0인가 아닌가로 나뉠 수 있다. 2) a=0, b=0 인경우 0 = 0 → 무수히 많은 해 → 부정 3) a=0, b≠0 인경우 0x = b → 해가 없음 → 불능 이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면 아래그림과 같다 일차연립방정식 미지수가 n개 일차방정식들을 유한개를 묶어 놓은 것을 일차연립방정식이라고 한다. 그리고 미지수의 갯수 n에 갯수에따라 n원 방정식이라고 한다. 예를들면 x + 2y=5라는 일차방정식은 미지수가 2개이므로 2.. 2023. 8. 15. 자료구조의 개념 자료와 정보 사이의 관계 자료는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이나 사실을 말한다. 정보는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으로 자료의 유효한 해설이나 상호관계를 표현하는 내용이라고 할수있어서 자료를 적절한 처리과정을 거쳐 정돈된 자료의 2차 결과물을 정보라고 할수있다. I=P(D) I는 정보 P는 처리과정 D는 자료(데이터) 자료 → 처리(컴퓨터) → 정보 요즘에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 발전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보니 데이터도 가치가 높다. 자료를 좋은것과 나쁜 것에 대한 예시를 들어본다면 색이 다른 펜과 연필을 정리대에 모두 함께 있다면 이것은 정리가 되지 않는 자료지만 각각의 색깔 별로 펜과 연필을 따로따로 묶어 놓는다면 좋은 자료구조라고.. 2023. 8. 13. 프로그래밍 언어란 무엇인가. 프로그래밍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의 언어란 의사전달도구로서, 다른 사람에게 뜻과 감정을 전달하려 할 때 말하고 글을 쓴다. 이러한 언어는 모두 상대방에게 의사 전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전달해야 되는 대상이 컴퓨터이고 이는 궁극적으로 컴퓨터가 수행해야 하는 계산을 목표로 한다. 계산이란 주어진 문제로부터 원하는 답을 찾기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명확한 절차를 뜻하는데 이 절차가 유한한 단계 안에 끝나야 알고리즘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는 계산을 표기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전달하고자 하는 상대방은 컴퓨터이다. 하지만 이러한 계산은 사람마다 다르게 작성할 수 있어서 서로 비교하여 더욱 더 좋은 방법을 비교할 수 .. 2023. 8. 11. 이전 1 ··· 49 50 51 52 다음 반응형